IP 주소의 구조
OSI 7계층에서 3계층에 해당하는 IP(Internet Protocol)은 32비트의 주소 체계를 갖는다. IP 주소는 3계층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수 많은 컴퓨터들 중에서 특정한 컴퓨터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하는 주소이다. 32비트는 8비트 4개가 모여있는 것인데, IP 주소는 8비트 단위로 쪼개서 사용한다.
8비트는 총 $2^8 = 256$개의 경우의 수를 갖는다. 이를 10진수로 변환하면 0부터 최대 255이며, 각 자리는 이에 해당하는 값을 가진다. 그래서 IPv4는 0.0.0.0부터 255.255.255.255에 사이의 주소 값을 가진다.
IP 주소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갖는다. 아래의 이미지는 서브넷 마스크가 255.255.255.0인 경우의 예시이다.
출처: https://ittrue.tistory.com/183
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는 현실 세계의 주소 체계와 비슷하다. 예를 들어,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42번지
라는 주소가 있다고 해보자. 만약 택배 회사에서 이 주소로 물건을 보내기 위해서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
의 대리점에 전달을 할 것이고, 택배 기사님께서 42번지
에 보내진 물건을 가져다 줄 것이다. 여기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
은 네트워크 ID고, 42번지
는 호스트 ID다. 즉, IP 주소를 통해 어떤 네트워크에 속한 특정 호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.